본문 바로가기

트럼프의 ‘해방의 날’ 선언, 4월 2일 미국 관세 대전 돌입…주요 국가와 품목 정리

미래지기스 2025. 4. 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4월 2일을 ‘미국 해방의 날(Liberation Day)’로 선포하며, 대규모 관세 정책 시행을 예고했다. 이번 조치는 무역 불균형 시정을 명분으로 내세운 일종의 무역 보복 전략이며, 주요 교역국을 겨냥해 자동차, 철강, 에너지, 전자부품 등 광범위한 품목에 대해 새로운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첫째, 관세 부과 대상 국가와 품목이다.


미국 정부는 4월 2일부터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으며, 자동차 부품은 5월 이후 적용 예정이다. 이미 지난 2월부터 중국산 제품 전체에 10% 관세를 부과했고, 3월에는 이를 20%로 상향 조정했다. 이외에도 철강 및 알루미늄에는 25%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으며,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한국, 베트남, 일본 등이 주요 타깃이다.

또한 베네수엘라산 석유, 러시아산 에너지, 외국산 의약품과 반도체 등도 관세 대상 품목에 포함될 수 있다. 미국의 최대 자동차 수입국인 일본과 한국, 유럽연합, 캐나다, 멕시코 등이 특히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관세 정책의 정치적·경제적 배경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무역수지 적자를 개선하고, 자국 제조업과 일자리를 보호하기 위한 핵심 경제 전략으로 간주한다. 2024년 미국의 무역적자가 9000억 달러에 달한 상황에서, 수입품에 10~25% 수준의 고율 관세를 부과해 연간 6000억 달러 이상의 세수를 확보하고, 300만 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트럼프는 관세를 통해 외국 기업이 미국 내 생산시설을 이전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의 210억 달러 미국 투자도 그 성과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미국이 부과한 관세는 외국의 불공정한 관행에 대한 ‘상호 대응’의 성격이 짙다.

 

셋째, 예상되는 국내외 반발과 경제적 영향이다.


무디스 애널리틱스 등 주요 분석기관은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해 미국 내 소비자 물가 상승, 기업 생산 비용 증가, 고용 감소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특히 내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0.6% 감소하고, 25만 개의 일자리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캐나다, 유럽연합, 중국 등은 이미 보복 관세로 대응하거나 예고한 상태이며, 글로벌 무역 전쟁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유럽연합은 28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4월 1일부터 발효할 예정이다.

미국 내부에서도 관세로 인한 소비자 부담과 기업 활동 위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경제 성장 동력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반응을 일축하며 “미국이 오랜 착취에서 해방되는 날”이라며 관세 정책에 대한 강력한 추진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번 트럼프의 ‘해방의 날’ 선언은 단순한 무역정책 차원을 넘어, 미국의 경제 구조와 대외 전략을 재편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그만큼 국내외 정치·경제적 충격은 불가피하며, 향후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트럼프관세 #해방의날 #미국무역정책 #수입차관세 #미중무역전쟁 #철강알루미늄관세 #자동차관세 #베네수엘라석유 #러시아산에너지 #보복관세 #무역적자 #미국제조업 #글로벌공급망 #트럼프경제정책 #미국대선2024 #관세정책영향 #무디스분석 #세계무역질서 #미국경제성장률 #관세부과국가

출처:

  • BBC World Service 기사
  • [CNBC 보도자료 인용]
  • [Moody’s Analytics 분석]
  • [ABC News 및 NBC 인터뷰 내용 요약]

함께 보면 더 좋은 정보 바로 보기 ▼ ▼ ▼

 

2025.04.01 - [사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D-3…눈여겨볼 핵심 포인트 3가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D-3…눈여겨볼 핵심 포인트 3가지

오는 4월 4일 오전 11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진행된다. 이는 노무현·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은 세 번째 현직 대통령 탄핵심판 사례로, 정치적 파장이 클 것으로

content.betweenus.co.kr

 

댓글